알라딘 도서정보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51546177
오리진
지구과학, 지질학, 해양학, 고생물학, 고고학, 역사학 등, 인문과학의 전 분야를 종횡무진하며 ‘빅히스토리’의 진수를 보여준다. 궁극적인 기원에 대한 이야기! 이 책은 인류의 시작에서 현재
www.aladin.co.kr
30년도 전에 읽었던
인류학 책 리차드리키의 오리진과 제목이 같다.
요즘은 댄브라운의 소설이 같은 제목으로 베스트셀러인 듯.
마지막 문장이 '지구가 우리를 만들었다.'이다.
우리를 만든 생물학적 변화, 판구조론, 기후, 해류 등 전지구적 관점에서 조망을 한다.
현재 우리 인류는 아주 짧은 안정적인 간빙기에 살고 있을 뿐...
그리고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건축재료, 금속, 석탄, 석유 등이
언제 어떻게 생성되었는 지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지리교사로서 이런 것들의 분포에 대해서는 많이 이야기를 해도
어디서, 어떻게까지는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것 같다.
대학에서 과학을 가르친다고 하는데
지리적 현상에 대해서 책에서 엄청나게 이야기 하고 있다.
지도가 책에 많이 나오고 지명도 많이 언급된다.
구글지도를 띄어놓고 책을 읽었다.
아! 가보고 싶은 곳이 왜 이렇게 많을까?
다시 한 번 느낀다.
우리가 지리를 공부할 때 너무 미시적으로 현재에서만 보고 있다는 것을.
땅과 암석을 잘 구분해야한다.
암석들은 현재 위치에서, 현재 기후 상황에서 만들어지지 않고
지구의 다른 곳 어디에선가 먼 과거에 만들어진 후에 이동해 왔다는 것을...
목차
제1장 • 우리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지구 냉각 | 진화의 온상 | 나무에서 내려와 도구를 제작하다 | 기후 진동 | 우리는 판들의 활동이 낳은 자식이다
제2장 • 사피엔스는 왜 이동을 시작했는가
쌀쌀한 시절 | 하늘의 시계 장치 | 온실에서 얼음 저장고로 | 대탈출 | 빙기가 남긴 여러 가지 영향 | 섬나라
제3장 • 인류 진화를 도운 생물지리학적 환경
새로 발견한 낙원과 잃어버린 낙원 | 신석기 혁명 | 변화의 씨앗 |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너다 | 야생 동물을 길들이다 | 생식 혁명 | 문명과 APP 포유류 | 전 지구적인 발열 상태 | 유라시아의 이점 | 급수탑
제4장 • 신드바드의 세계
물을 부로 바꾸다 | 내해 | 신드바드의 세계 | 향신료 세계 | 병목 지점 | 검은 동맥 | 블랙 벨트
제5장 • 도시의 풍경을 결정지은 재료
생물학적 암석 | 나무와 점토 | 석회암과 대리암 | 백악과 부싯돌 | 불과 석회암 | 판들의 격렬한 활동이 낳은 산물 | 우리 발밑의 땅
제6장 • 금속은 어떻게 인류 사회를 바꾸었는가
청동기 시대의 개막 | 해저에서 산꼭대기로 | 연철에서 강철로 | 철로 이루어진 별의 심장 | 세상이 녹슬었을 때 | 호주머니 속의 주기율표 | 멸종 위기에 처한 원소
제7장 • 기후가 만들어낸 실크로드의 지도
동서 횡단 고속도로 | 풀의 바다 | 민족 대이동 | 로마 제국의 쇠퇴와 멸망 | 팍스 몽골리카 | 한 시대의 끝
제8장 • 해류와 바람, 인류의 대탐험 시대를 열다
볼타 두 마르 | 폭풍의 곶 | 신세계 | 전 지구적인 바람 기계 | 몬순의 바다로 | 몬순 메트로놈 | 물의 제국 | 세계화를 향해
제9장 • 석탄과 석유가 바꿔놓은 인류의 문화
햇빛과 근육의 힘 | 에너지 혁명 | 화석화한 햇빛 | 석탄의 정치학 | 검은 죽음 | 중간 단계를 없애다
2021.4.8
뭉그니
'일상 > 독서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김대식의 키워드 - 김대식[인문][미래] (0) | 2021.04.15 |
---|---|
[****] 메타버스 - 김상균[디지털][미래] (0) | 2021.04.12 |
[****] 남극이 부른다 - 박숭현[지구과학][지질학][해양과학] (0) | 2021.03.29 |
[*****] 나는 기린 해부학자입니다 - 군지 메구(이재화)[생물][자서전][일본] (0) | 2021.03.25 |
[****] 과학혁명과 세계관의 전환 1 - 야마모토 요시타카(김찬현, 박철은)[천문학] (0) | 2021.03.23 |